본문 바로가기
AI · IT

피그마, 인쇄 디자인까지 완벽 정복! 플러그인 활용 A to Z

by warmmoss 2025. 8. 28.
반응형

"피그마는 웹디자인 툴이잖아. 인쇄물 작업은 역시 일러스트레이터나 인디자인이지."

피그마(Figma)를 사용하는 디자이너라면 한 번쯤 이런 고민에 빠져본 적 있을 겁니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강력한 협업 기능 덕분에 UI/UX 디자인의 대세로 자리 잡았지만, 인쇄 디자인에 필수적인 CMYK 컬러 모드나 DPI, 재단선(칼선) 설정이 까다로워 명함이나 포스터, 리플렛 같은 인쇄물 작업에는 선뜻 사용하기 망설여졌죠.

하지만 이제 두 가지 핵심 플러그인만 있다면, 여러분이 사랑하는 피그마의 작업 환경 그대로 인쇄 디자인까지 완벽하게 정복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피그마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쇄소에 바로 넘겨도 칭찬받는 '인쇄용 PDF'를 만드는 실전 꿀팁을 소개해 드립니다.


왜 디자이너들은 피그마로 인쇄 디자인을 망설였을까?

가장 큰 이유는 피그마가 웹(스크린) 환경에 최적화된 RGB 컬러 모드를 기본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인쇄는 CMYK 컬러 모드를 사용하므로, RGB로 작업한 결과물을 그대로 인쇄하면 색상이 탁해지거나 전혀 다른 색으로 나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한, mm나 cm 같은 물리적 단위 설정이나 300DPI와 같은 고해상도 설정, 재단선 표시 등이 직관적이지 않아 많은 디자이너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걱정 마세요. 아래 두 가지 플러그인이 이 모든 고민을 해결해 줄 겁니다.


STEP 1. 문서 설정의 신세계: 'Print for Figma' 플러그인

피그마, 인쇄 디자인
피그마, 인쇄 디자인

인쇄 디자인의 첫걸음은 정확한 '대지(아트보드)' 설정입니다. 'Print for Figma'는 이 과정을 놀랍도록 간단하게 만들어 줍니다.

  1. 플러그인 실행: 피그마 상단 메뉴에서 [Resources] > [Plugins]로 들어가 'Print for Figma'를 검색하고 실행합니다.
  2. 사이즈 선택: A4, B5, 명함 사이즈 등 원하는 인쇄 규격을 선택합니다. mm, inch 등 실제 단위로 설정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3. DPI 및 재단 여백(Bleed) 설정: 인쇄의 기본인 300DPI로 설정하고, 재단 시 잘려나갈 여유 영역인 Bleed(재단 여백)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보통 3mm)
  4. 프레임 생성: 설정을 마치고 버튼을 누르면, 재단선과 안쪽 여백(Margin)까지 완벽하게 설정된 인쇄용 프레임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이제 여러분은 이 프레임 안에서 익숙한 피그마의 툴을 이용해 자유롭게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면 됩니다.

STEP 2. 인쇄용 PDF 내보내기: 'TinyImage Compressor' 플러그인

디자인을 완성했다면, 이제 인쇄소에 보낼 CMYK 포맷의 PDF 파일을 만들 차례입니다. 이때 'TinyImage Compressor' 플러그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1. 플러그인 실행: 인쇄할 프레임을 선택한 상태에서 'TinyImage Compressor' 플러그인을 실행합니다.
  2. PDF 생성 선택: 플러그인 창에서 이미지 압축 옵션 외에 'Create PDF' 버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세요.
  3. CMYK 및 DPI 설정: 바로 이 단계가 핵심입니다. PDF Export 설정 창에서 Color Space를 'CMYK'로 변경하고, DPI를 '300'으로 설정합니다.
  4. PDF 내보내기: 'Export PDF' 버튼을 누르면, 여러분의 디자인이 인쇄에 최적화된 CMYK, 300DPI의 고품질 PDF 파일로 완벽하게 저장됩니다.

이제 피그마 하나로 충분합니다

더 이상 인쇄 작업을 위해 익숙하지 않은 툴을 넘나들며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Print for Figma'로 정확하게 인쇄판을 설정하고, 'TinyImage Compressor'로 완벽한 인쇄용 PDF를 만드는 이 두 가지 플러그인만 있다면, 여러분의 피그마는 웹과 앱을 넘어 인쇄까지 아우르는 전천후 디자인 툴이 될 것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꿀팁으로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디자인 툴 활용의 폭을 한층 더 넓혀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