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벌써 갱신할 때가 됐네?" 우편함에 꽂힌 운전면허 갱신 안내문, 혹은 스마트폰으로 온 알림 톡. 10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 일이지만 막상 닥치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지곤 하죠.
특히, 이번 기회에 2종 보통 면허를 1종으로 바꿔볼까 고민하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복잡해 보이는 운전면허 갱신과 1종 보통으로 전환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을 A to Z로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Part 1. 기본 중의 기본! '2종 보통' 면허 갱신하기
가장 일반적인 2종 보통 면허 갱신은 정말 간단합니다.
✅ 갱신 기간: 면허증에 적힌 갱신 기간 시작일로부터 1년 이내
✅ 준비물:
- 기존 운전면허증 (분실 시 신분증)
-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증명사진 1매 (3.5x4.5cm)
- 갱신 수수료 (국문 8,000원 / 국문+영문 10,000원)
✅ 가장 쉬운 방법: 온라인 신청 후 수령
-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로그인 후 [운전면허증(모바일) 발급] → [2종 면허증 갱신] 메뉴를 선택합니다.
- 사진을 등록하고, 면허증을 수령할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민원실과 날짜를 지정합니다.
- 지정한 날짜에 맞춰 방문해 기존 면허증을 반납하고 새 면허증을 받으면 끝!
물론 운전면허시험장이나 경찰서 민원실에 직접 방문해서 당일 발급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Part 2. 7년 무사고라면 도전! '1종 보통'으로 전환하기
"저도 1종으로 바꿀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아래 조건만 충족한다면 별도의 시험 없이 1종 보통 면허로 전환(갱신)할 수 있습니다.
✅ 1종 전환 조건:
- 2종 보통(수동/자동) 면허를 취득한 지 7년 이상 경과
- 갱신 기간 내 7년간 무사고 운전 경력
- (경찰청 교통민원24(이파인)에서 '운전경력증명서'를 발급받아 확인 가능)
✅ 1종 전환 절차 (적성검사가 핵심!) 1종 면허는 신체검사인 '적성검사'가 필수입니다.
STEP 1. 신체검사(적성검사) 받기
- 방법 1 (추천): 운전면허시험장 내 신체검사실
- 시험장에 방문해 신청서 작성 후, 그 자리에서 바로 시력 검사 등을 진행합니다. (비용: 7,000원)
- 방법 2: 일반 병원
-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 "운전면허 1종 적성검사용 신체검사"를 받습니다. (비용: 병원마다 상이)
- 방법 3: 건강검진 결과 활용
- 최근 2년 내 국가건강검진을 받았다면, 온라인 신청 시 '정보 활용 동의'만으로 신체검사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가장 편리!)
STEP 2. 면허증 발급 신청
- 신체검사를 마쳤다면, 2종 갱신과 동일하게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운전면허시험장에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 준비물: 기존 면허증, 증명사진 1매, 수수료(10,000원), 신체검사 결과지(병원 발급 시)
⚠️ 놓치면 과태료! 꼭 알아두세요.
- 갱신 기간 초과 시: 2종 면허는 2만 원, 1종 면허는 3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1년 이상 경과 시: 면허가 취소될 수 있으니, 갱신 기간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운전면허 갱신, 더 이상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특히 7년 무사고 경력을 가진 2종 면허 소지자라면, 이번 갱신 기간이 별도 시험 없이 1종 면허를 취득할 절호의 기회입니다.
지금 바로 내 면허증의 갱신 기간을 확인하고,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 접속해 보세요!
반응형